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면역력 높이는 음식 TOP8 – 생활 습관

by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2023. 10. 30.
728x170

환절기에는 아침 저녁으로 기온차가 커서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나 비염, 독감 등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런 시기일수록 더욱 면역력에 신경 써줘야 하는데요. 오늘은 면역력 높여주는 음식과 생환 습관에 대해서 간단히 알려드릴까 합니다. 


면역력 낮아지는 이유

면역력은 몸의 면역 체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떨어집니다. 면역 체계는 선천 면역 체계와 후천 면역 체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선천 면역 체계는 원래부터 몸이 가지고 있는 면역 체계이고, 후천 면역 체계는 예방 접종 등을 통해서 생긴 면역력을 뜻합니다.

 

 

면력역 높이는 방법과 낮아지는 이유

환절기에 가장 큰 관심사는 면역력이죠. 면역력이 낮아지면 감기나 비염이 걸리기도 하고 하루 종일 재채기에 몸살도 쉽게 옵니다. 그래서 체력이 떨어지고, 떨어지면 다시 감기에 걸리기 쉽고

spacedaily.tistory.com


- 과도한 흡연과 음주
- 노화로 인한 면역력 저하
- 비만
- 스트레스, 과로, 수면 부족
- 환절기

면역력 높여주는 음식 TOP8


1. 버섯

버섯에는 베타글루칸이라는 면역력에 관련된 성분이 있습니다. 베타글루칸은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성질을 지녔습니다. 모든 버섯이 그러한 것은 아니고, 표고버섯, 영지 버섯, 상황버섯에 베타글루칸이 들어있다고 확인되었습니다.


2. 양파

케르세틴이라는 항산화 물질이 있습니다. 이것은 사과나 시금치, 블루베리, 양파 등에 많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양파, 자색 양파에 케르세틴이 몇배나 더 들어있어서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3. 브로콜리

브로콜리에는 비타민 C, 셀레늄 등의 성분이 많은데 이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항암 작용과 노화를 느리게 진행시키게 도와주어 면역 체계를 회복시킵니다.


4. 파프리카

파프리카에는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이라는 면역력 강화 성분이 많습니다. 베타카로틴은 체내로 들어가면 비타민 A로 변환되고, 비타민 A는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 C는 면역력 강화보다는 다른 성분들과 함께 강화를 돕는 성분입니다. 


5. 김치

김치의 유산균은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줍니다. 김치를 이루고 있는 채소나 양념, 숙성, 발효 모두 몸에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항산화 작용도 하고 장을 깨끗하게 청소도 해줍니다. 김치가 숙성되면서 생긴 유기산이 체내 부패균 생성을 막아서 면역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6. 고등어

고등어에는 셀레늄과 오메가가 풍부합니다. 그래서 바이러스 저항력, 노화 방지, 심장 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셀레늄 성분은 약으로 먹는 것 보다 자연식으로 먹는 것이 흡수에 더 좋다고 합니다.


7. 고구마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 성분이 풍부해서 체내에 들어오면 비타민 A로 바뀌어서 활성 산소를 억제 시킵니다. 암이나 심장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해주는 항산화 성분도 많고, 피부에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주는 면역력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8. 마늘

마늘에는 장내에 유익한 박테리아의 성장을 돕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장내 박테리아는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늘에는 프로바이오틱스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B세포, T세포 등의 생성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세포들은 면역 기능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와 암

외부 물질에 대한 우리 몸의 방어 체계를 “면역계” 라고 합니다. 실제로 면역계는 굉장히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작동됩니다. 이 면역계의 큰 틀을 살펴보면 면역계는 크게 선천면역과 적응

spacedaily.tistory.com


간단히 면역력 높이는 생활습관 TOP5


- 균형 잡힌 식단
- 금연, 금주
- 규칙적인 운동
- 규칙적인 식사 (폭식이나 과식하지 않기)
- 숙면


간단하게 5가지만 해줘도 면역력 증진에는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들 쌀쌀 해진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우리 몸의 면역계 기초에 대하여

오늘은 면역계에 대해 리뷰하고자 합니다. 우리 몸의 면역에는 체액면역과 세포면역이 있습니다. 면역이 수용성 매개자와 세포로 매개된다는 주장은 수십 년 동안 지속해 왔습니다. 체액면역이

spacedaily.tistory.com

 

그리드형

댓글